사무총장의 책임과 의무 사무총장은 1) 대표성 2) 수입 창출, 3) 정책개발과 기획, 4) 경영과 행정 등 4가지 영역에서 책무를 맡게 됩니다.
대표성(Public Representation) - 한국에서 유니세프한국위원회와 유니세프를 대변(代辯)한다. - 유니세프한국위원회와 유니세프본부간의 관계를 조정하고 관리한다. - 세계적인 유니세프 조직 내에서 유니세프한국위원회의 입장을 대변한다. - 한국정부와 국회를 대상으로 유니세프에 대한 지원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노력한다.
수입 창출(Income Generation) - 개인, 회사, 재단 등 민간부문에서 최대한 많은 기금을 모금해 어린이를 지원한다는 유니세프의 기본사명을 충실히 지킨다. - 검증된 기금모금 프로그램을 통해 유니세프한국위원회의 모금을 확대하는 한편,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다. - 후원기업과 주요후원자들로부터 조성되는 기금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도록 한다. - 유니세프카드와 상품판매 등에서 나오는 세입을 증가시킨다. - 새롭고 혁신적인 기금모금방법을 개발한다.
정책 개발과 기획(Policy Development and Planning) - 유니세프사명(Mission statement)에 맞는 역할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휘한다. - 실행이사회와 함께 조직의 운영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신임 이사들을 계속 발굴하고 교육한다. - 이사회가 책임과 의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인력과 자원 등을 제공한다. - 이사회의 의결사항을 효율적으로 집행한다.
경영과 행정(Management and Administration) - 재정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비용지출을 최소화하고 유니세프본부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지원하는 기금비율을 높인다. - 유니세프본부와의 3개년 공동계획(JSP) 및 전략을 집행/평가하기 위한 연간 사업계획과 예산계획을 제시한다. - 직원들이 업무를 통해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능력개발과 훈련기회를 제공한다. - 한국위원회의 부동산, 비품, 장비 등 모든 자원이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한다. - 한국위원회의 직원들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업무평가를 받을 수 있는 적절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한다. - 한국위원회의 각 부서와 직원들이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고, 이러한 목표들이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업무를 지원하고 부서장을 감독, 평가한다. - 유니세프의 기본사명에 입각해 한국위원회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금의 흐름을 관리하며 기금배분이 현재 및 미래의 수요를 적절히 반영하도록 한다. - 직원과 이사, 관련단체가 서로 믿고 이해하며 협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.
자격요건 지원자는 다음과 같은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. - 임원급 전문직원을 관리한 경험 - 재정관리, 예산수립, 전략적 기획 부문의 경험 - 대학원 이상의 학력 - 비영리조직(NPO)과 국제구호사업에 대한 경험자 - 유니세프본부 및 각 나라 대표들과의 교류를 통해 한국위원회를 대변할 수 있는 탁월한 영어구사능력 (Both in writing and speaking) - 정부, NGO, 기업, 국제단체 등과 고위급 차원에서 협상하고 연락하는 등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의사 소통하는 능력 - 설득력 있고 권위 있는 의사소통 기술 - 외교적 수완과 판단력 - 직접적인 통제가 미치지 않는 관계를 관리할 수 있는 역량 - 모든 이의 참여를 장려하는 조직문화를 만들고, 각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는 경영스타일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