법인 및 병원 등 사업장: donor@unicef.or.kr로 신청
설립이념
역사
활동 목표
후원 기금 사용처
후원자 참여
착한상품
자원봉사
개인이 후원
단체에서 후원
(01/1/2) 2001 세계아동현황보고서 |
2003.06.16 |
---|---|
|
|
■ 2001/1/2 2001 세계아동현황보고서
< 2001 유니세프 세계아동현황보고서 발표 >
- 0세부터 3세까지의 투자가 나라의 미래를 결정한다.
유니세프는 2000년 12월 12일 정오(한국시각 12월 13일 오전 2시) 유니세프 뉴욕본부에서 2001년도 세계아동현황보 고서(The State Of the World’s Children)를 발표하고 국가 의 미래를 위해 0세부터 3세까지의 영유아에게 투자하는 것 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역설하였다.
유니세프의 세계아동현황보고서에는 그 해의 중점 주제 에 관한 논평들과 함께 세계 193개국의 어린이사망률, 모성 사망률, 예방접종률, 초등학교 취학률 등의 통계 수치가 수 록되어 있다.
올해의 중점 주제는 영유아기 어린이 보호의 중요성이 다. 유니세프는 이 보고서를 통해 영유아기의 투자가 빈곤 과 폭력, 질병과 차별의 악순환을 끝낼 수 있다고 주장하면 서 영유아기 어린이에 대한 투자야말로 어린이 부모, 국가 를 위해서 최고의 선택임을 강조하고 있다.
■ 10년 동안의 발전 추이- 한국의 유아사망률 9명에서 5명 으로 떨어져
보고서는 지난 10년 동안 이루어진 발전을 통계표(보고 서 108-109쪽)에서 제시하고 있다. 1990년 사하라 이남 아 프리카의 5세 미만 어린이 사망률은 1,000명당 180명에서 1999년 173명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남아시아는 128명에서 104명으로 떨어졌으며, 동아시아/태평양 지역은 57명에서 45명으로 떨어졌다. 개발도상국 전체로 볼 때는 102명에서 90명으로 떨어졌으며, 한국은 9명에서 5명으로, 북한은 35명에서 30명으로 낮아졌다.
■ 가장 확실한 대가가 돌아오는 투자 - 영유아기 어린이 에 대한 투자
아기가 태어나면 36개월 안에 뇌세포가 빠르게 연결되어 평생 동안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신경조직이 완성된 다. 말하기, 만지기, 걷기, 사고하기 등을 배우면서 선과 악, 공정함과 불공정함을 판단하는 가치체계도 형성된다. 이 시기는 인생의 시기 중에서 가장 상처받기 쉬운 시기이 므로 사회의 보호가 가장 절실히 필요해진다. 영유아기의 어린이의 보건과 교육, 영양사업에 충분한 투자를 하게 되 면 국민들의 보건과 생활수준이 그만큼 향상되어 미래에는 보건사업이나 사회복지서비스에 쓰일 예산을 절약하는 결과 를 가져오게 된다.
■ 평생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기의 경험
영유아기의 어린이는 부모와 주변 어른들과의 경험을 통 해 두뇌 발달을 이루어가며, 이 시기에 공급되는 영양과 보 건서비스, 깨끗한 식수 등은 평생동안 영향을 미치게 된 다. 부모가 아기를 어르거나 만지는 행동, 무등을 태워주거 나 노래를 불러 주는 등의 행동은 애정과 보호의 표시로 정 서적인 영양분과 같아서 어린이의 신뢰감과 호기심, 자제 력 등을 발달시키며, 미래에 다른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 준다. 0-3세 사이에 이런 발달이 이루 어지지 않으면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결 과를 가져오게 된다.
■ 어머니의 건강이 중요하다.
어머니의 건강과 교육은 특히 중요하다. 그러나, 남아시 아의 임산부 중 29%,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37%만이 의료요원의 도움으로 출산을 하고 있으며, 에리트레아와 같 은 나라의 모성사망률은 10만 명당 1천 명에 이르고 있다. 영유아 조기보호 프로그램은 임산부의 영양과 건강관리의 중요성, 임신한 아내를 돌보고 자녀를 양육하는 남성들의 중요한 역할에 관한 가족 대상 교육도 포함한다. 따라서 이 런 프로그램들은 성의 불평등을 타파하고 여성의 삶을 향상 시키는 계기를 제공한다. (세계아동현황보고서 34-36쪽 참조)
■ 빈곤, 영유아에 대한 투자의 걸림돌
영유아기를 위한 투자를 막는 주된 원인은 빈곤이다. 5 억 이상의 어린이들을 포함하여 12억의 사람들이 하루 1달러 이하로 살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가난한 나라들이 교육이 나 보건, 영유아 조기보호 프로그램에 투자를 하는 것이 아 니라, 2조 달러나 되는 외채를 갚는데 많은 돈을 쓰기 때문 이다. 부유한 나라들의 지원도 충분하지 않다. 끊임 없는 전쟁의 위협과 연간 2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HIVS/AIDS 도 어린이들을 보호막 바깥으로 내몰고 있다. 절대적 빈곤 과 폭력, 전염병에 시달리는 국가들, 어린이들의 권리를 보 장해 주기 가장 힘든 그런 곳이야 말로 영유아들에 대한 관 심이 가장 필요한 곳이다.
■ 성공적인 영유아 조기보호프로그램 - 조기 투자로 인한 이익
스웨덴의 탁아 제도, 국가가 운영하는 쿠바의 탁아소 제 도, 그리고 미국의 헤드 스타트(Head Start) 프로그램은 가 장 성공적인 영유아 조기보호 프로그램이다.스웨덴에서는 지방정부가 그 나라 어린이의 약 절반 정도에게 탁아비를 지원해 줌으로써 어린이들이 충분한 재원과 전문적인 직원 들이 있는 좋은 시설의 탁아소에서 자랄 수 있게 도와준 다. 쿠바는 1959년부터 0세-6세 어린이의 98.3%가 참여하 는 국가 중심의 탁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. 1965년 시 작되어 130만 명의 자원봉사자들과 1,400개의 지역사회 비 영리 단체, 학교가 참여하고 있는 미국의 헤드스타트 프로 그램은 3-5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발달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헤드스타트에 다니는 어린이의 가정에는 임 산부에 대한 보건서비스, 어린이교육과 영양공급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해 주는 등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으로서 지난 35년 동안 약 180만 명의 어린이들의 취학전 발달 을 도와왔다.
■ 지도자들의 선택이 필요하다
영유아 조기보호 프로그램을 위한 투자는 효과가 금방 나 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국가의 재원이 어린이 프로그램 에 우선적으로 투자되지 않고 있다. 많은 국가들이 국민들 의 보건과 교육, 식수 공급 등의 기본서비스에 사용해야 할 예산을 전쟁과 자신들의 치부, 비효율적인 정책에 낭비 하고 있다. 기본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보다는 빚을 갚는데 더 많은 돈을 쓰는 국가들도 있어서 탄자니아의 경우 예산 의 50%를 빚을 갚는데 쓴다. 각국의 지도자들은 모든 어린 이들에게 출생신고의 권리와 폭력으로부터의 보호, 적절한 영양과 깨끗한 식수, 위생적인 환경, 1차보건진료의 권리 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. 그것이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이행하 는 길이다. 지금 영유아기 어린이들에게 투자하지 않으면 나중에 문제 해결을 위해 더 많은 돈을 쓰게 될 것이다.
|
다음글 | (01/6/26) 여자어린이 조혼의 위험성 | 2003.06.16 |
이전글 | (00/11/15) 폭우, 태풍피해로 북한사정악화 | 2003.06.16 |